안양시

안양시의회 장경술 의원, 고립은둔 청년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작성자 정보

  • 강성현 기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소중하지 않은 청춘은 없다: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청년특별시 안양

- 공공기관, 민간단체, 고립 청년의 사례발표 등 다양한 시각과 정책 논의

- 복지관, 아동·청소년 기관 등 관내 유관기관 및 많은 시민 참여 눈길

 

안양시의회 장경술 의원, 고립은둔 청년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JPG

안양시의회 장경술 의원, 고립은둔 청년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사진=안양시의회

 

안양시의회 장경술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지난 17일 오후 2시, 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안양시 고립·은둔 청년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고립·은둔 청년지원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장경술 의원이 좌장으로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청년의 고립과 은둔: 어떻게 보고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부연구위원인 김성아 박사가 발제를 맡았다.


이어 김재열(사람을 세우는 사람들 더유스 대표), 박두헌(지식순환사회적협동조합 사무국장), 이현주(안양YMCA 아기스포츠단 원장), 박자행(희망제작소 선임연구원), 정은주(안양시 청년정책관 과장)이 패널로 참여했으며, 50여 명의 시민과 관계자들이 함께 열띤 토론을 펼쳤다.


토론회에서는 ▲고립·은둔 청년 맞춤형 지원정책, ▲사회적 관계망 회복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 ▲심리·정서 지원 및 자립 기반 마련, ▲고립 청년을 위한 일자리 연계 및 정책 방향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됐다.


발제자였던 김성아 박사는 고립·은둔 청년의 사회적 관계 단절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고립되는 만큼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열 대표(사람을 세우는 사람들 더유스)는 “고립·은둔 청년들은 단순한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심리적 위축과 사회적 관계 단절을 경험하고 있다”며, “이들을 위한 맞춤형 심리 상담, 멘토링 프로그램, 커뮤니티 활동 등을 통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박두헌 사무국장(지식순환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관계망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고립 청년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과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역사회가 함께 나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현주 원장(안양YMCA 아기스포츠단)은 실제로 고립 청년들과 함께한 일 경험을 토대로 고립 청년과 함께해야 할 기관 및 종사자의 이해와 노력이 필요한 부분을 덧붙였다. 


박자행 선임연구원(희망제작소)은 2024년 안양시 고립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안양시 청년인구 중 약 5.6%가 사회적 고립 상태에 있으며, 이들이 다시 사회와 연결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정은주(안양시 청년정책과) 과장은 토론회에 논의된 사례와 내용을 경청했으며 예산 부분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라며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끝으로 장경술 의원은 “고립·은둔 청년 문제는 단순한 개인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며, “오늘 논의된 의견들이 안양시 정책에 반영되어 실질적인 지원 체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jeboanyang@gmail.com  강성현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040 / 1 페이지

안양시

최근글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